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1호 ~ 제200호)는 북한이 지정한 국보 중 101호부터 200호까지의 목록을 다루며, 금강산 장연사 삼층탑, 묘길상, 함흥본궁, 만월대, 공민왕릉, 개성 남문, 덕흥리 벽화무덤, 북관대첩비 등 다양한 유적과 유물을 포함한다. 이 목록은 통일신라, 고려, 조선, 고조선, 고구려, 발해 등 다양한 시대의 건축물, 불교 유적, 왕릉, 고분, 비석, 그리고 기타 유물을 아우르며, 지역별로는 강원도, 함경도, 평안도, 황해도, 개성 등에 분포되어 있다. 특히 고구려 고분군, 개성 역사유적지구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2. 지정 목록 (제101호 ~ 제193호)
wikitext
북한은 문화재를 국보, 보물, 유물, 유적 등으로 분류하며, 이 중 국보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 문화재를 의미한다.
공민왕릉은 고려 공민왕의 무덤으로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에 있다. 왕건왕릉은 고려 태조 왕건의 무덤으로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에 있다. 단군릉은 고조선의 시조 단군의 무덤으로 평양시 강동군 문흥리에 있으며, 고구려 시대에 다시 축조되었다.
덕흥리 벽화무덤은 고구려 시대의 무덤으로, 남포시 강서구역 덕흥동에 위치하며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룡강큰무덤은 남포시 룡강군 룡강읍에 있는 고구려 고분이다. 온달 장군과 평원왕 공주의 묘와 장군 고흘의 무덤은 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에 있는 고구려 고분이며,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덕화리 1호무덤은 평안남도 대동군 덕화리에 있는 고구려 고분으로, 세계유산이다. 이들은 모두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용산리 고인돌은 평안남도 성천군 룡산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이다. 황대성과 고인돌은 평양시 강동군 향목리 남양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적이다. 향단리 돌관무덤은 평양시 강동군 향단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무덤이다.
2. 2. 4. 비석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는 신라 진흥왕이 황초령에 세운 순수비이다. 현재 함흥력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역시 진흥왕이 마운령에 세운 순수비로, 함흥력사박물관에 있다. 표충비는 조선시대 정몽주 등 충신을 기리기 위해 개성에 세워졌다. 현화사비는 고려시대 현화사의 역사를 기록한 비석으로, 개성 고려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광통 보제선사비는 고려 광종 때 법인국사의 탑비로 개성에 있다. 오룡사 법경대사비는 고려시대 오룡사의 법경대사를 기리는 비석으로 개성에 있다. 영통사 대각국사비는 고려 대각국사 의천의 업적을 기록한 비석으로 개성에 있다. 묘향산 보현산비는 고려시대 보현사의 역사를 기록한 비석으로 평안북도향산군에 있다. 북관대첩비는 임진왜란 당시 정문부가 함경북도에서 가토가 이끄는 일본군을 물리친 것을 기념하여 세운 비석이다. 원래 함경북도김책시에 있었으나, 러일 전쟁 중 일본군에 의해 약탈되었다가 반환되었다.
영통사 오층석탑(개성시 룡흥리 오관산 령통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3호이다.
화장사 부도(개성시 룡흥리 보봉산 화장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4호이다.
불일사 오층탑(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5호이다.
연복사종(개성시 북안동 남대문 문루)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6호이다.
적조사 쇠부처(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7호이다.
표충비(개성시 선죽동)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8호이다.
현화사 칠층탑(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39호이다.
현화사비(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1호이다.
광통 보제선사비(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무선봉 남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2호이다.
오룡사 법경대사비(개성시 룡흥리 용암산 오룡산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3호이다.
영통사 대각국사비(개성시 룡흥리 오관산 령통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5호이다.
덕흥리 벽화무덤 : 남포시 강서구역 덕흥동에 위치한 고구려 벽화 무덤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6호이다.
왕건왕릉(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9호이다.
령통사(개성시 룡흥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92호이다.
량강도
* 진북루 : 량강도 갑산군 갑산읍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누각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57호이다.
남포
* 룡강큰무덤 : 남포시 룡강군 룡강읍에 위치한 고구려 무덤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90호이다.
2. 3. 1. 강원도
금강산 장연사 삼층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탑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1호이다.
묘길상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2호이다.
가학루는 통일신라 시대에 건립된 누각으로, 강원도 안변군 안변읍에 위치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3호이다.
안변 보현사는 통일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강원도 안변군 령신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4호이다.
주둔리 무지개다리는 고려 시대에 건설된 다리로, 강원도 고성군 주둔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06호이다.
유점사종은 조선 시대의 범종으로, 강원도 고성군 월비산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62호이다.
석왕사 호지문은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문으로, 강원도 고산군 설봉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6호이다.
안양암 마애삼존불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7호이다.
고성 온정리 마애불입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78호이다.
정양사 삼층탑은 통일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탑으로, 강원도 금강군 내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86호이다.
신계사는 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91호이다.
2. 3. 2. 함경도
함흥본궁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고향인 함경남도 함흥시 사포구역 소나무동에 위치한 왕궁이다. 이성계는 왕이 되기 전에 이곳에서 살았으며, 왕위에 오른 후에도 여러 차례 이곳에 머물렀다고 전해진다.
구천각은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동흥산에 있는 고려시대 누각이다. 함흥시 중심부를 굽어보는 경치 좋은 곳에 자리하고 있다.
선화당은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에 있는 조선시대 관아 건물이다. 함경도 관찰사가 행정을 처리하던 곳으로, 1399년에 처음 지어졌고 1765년에 다시 지어졌다.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와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는 신라 진흥왕이 함경남도 지역을 순시한 것을 기념하여 세운 비석이다. 현재는 함경남도 함흥시 동흥산구역 함흥력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정광사는 함경남도 리원군 원사리에 있는 조선시대 사찰이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가 1632년에 다시 지어졌다.
량천사는 함경남도 고원군 락천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사찰이다.
군자루는 함경남도 금야군 금야읍에 있는 조선시대 누각이다.
룡흥사는 함경남도 영광군 봉흥리 백운산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이다.
동덕사는 함경남도 단천군 두연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이다.
공민루는 함경남도 단천시 양산동에 있는 조선시대 누각이다.
경성읍성과 경성읍성 남문은 함경북도 경성군 승암로동자구에 있는 고려시대 성곽이다. 조선시대에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개심사는 함경북도 명천군 보천리 칠보산에 있는 조선시대 사찰이다.
화성 쌍계사는 함경북도 화성군 부암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이다.
광제사 대웅전은 함경남도 북청군 죽상리에 있는 조선시대 건물이다.
청해토성터는 함경남도 북청군 하호리에 있는 발해 시대의 토성이다.
북관대첩비는 함경북도 김책시 림명리에 있는 조선시대 비석이다. 임진왜란 당시 함경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왜군과 싸워 큰 공을 세운 정문부 장군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원래 함경북도 길주군에 있었으나, 러일전쟁 당시 일본군이 일본으로 가져갔다가 1978년 북한으로 반환되었고, 2005년 10월 남북 합의에 따라 대한민국으로 다시 반환되어 현재는 대한민국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2. 3. 3. 평안도
평양시
* 글자 새긴 성돌 : 평양시 중구역 종로동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 유적이다.
* 광법사 : 평양시 대성구역 대성동에 위치한 고구려 시대 사찰이다. 광법사 오층탑은 고려시대 유물이다.
* 정릉사 : 평양시 력포구역 룡산리에 위치한 고구려의 절이다. 정릉사 팔각칠층석탑은 고구려 유물이다.
만월대는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시 송악동에 위치한 고려 왕궁터이다. 공민왕릉(공민왕의 무덤)은 개성시 개풍군 해선리에 있으며, 고려 시대의 건축 양식을 잘 보여준다. 개성 남문은 개성시 북안동에 위치한 조선 시대의 성문으로, 1391년부터 1393년까지 축조되었다. 관음사 대웅전은 개성시 박연리 대흥산성에 위치하며, 고려 시대에 창건되었다.
개성 성균관은 개성시 방직동에 위치한 고려 시대의 교육 기관으로, 국자감의 후신이다. 숭양서원은 개성시 선죽동에 위치하며, 고려 말 충신 정몽주를 배향하는 서원이다. 선죽교는 개성시 선죽동에 위치한 고려 시대의 다리로, 정몽주가 피살된 장소로 유명하다. 이 외에도 대흥산성(개성시 박연리), 발어참성(개성시 송악동), 개성 나성(개성시 송악동), 개성 첨성대(개성시 송악동), 흥국사탑(개성시 박직동 고려박물관), 영통사 오층석탑(개성시 룡흥리 오관산 령통사), 화장사 부도(개성시 룡흥리 보봉산 화장사), 불일사 오층탑(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연복사종(개성시 북안동 남대문 문루), 적조사 쇠부처(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표충비(개성시 선죽동), 현화사 칠층탑(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현화사비(개성시 방직동 고려박물관), 광통 보제선사비(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무선봉 남쪽), 오룡사 법경대사비(개성시 룡흥리 용암산 오룡산터), 영통사 대각국사비(개성시 룡흥리 오관산 령통사), 왕건왕릉(개성시 개풍군 해선리), 령통사(개성시 룡흥리) 등 다양한 유적들이 개성에 남아있다.
2. 4. 세계유산
고구려 고분군은 덕흥리 벽화무덤, 온달 장군과 평원왕 공주의 묘, 장군 고흘의 무덤 등 고구려 시대의 벽화무덤이다. 개성 역사유적지구에는 고려의 왕궁터인 만월대와 공민왕릉, 개성 성균관, 숭양서원 등이 있다.
3. 남북 문화유산 교류 및 협력의 중요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